바로가기 메뉴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충청남도역사박물관 로고

오늘도 역사는 흐릅니다, 충청남도의 오늘은 역사입니다.

상설전시

전시관 개요

  상설전시실은 충남의 연혁, 충청감영과 관찰사, 호서예학과 선비정신의 전통, 충남의 인물, 근현대 민속생활 유물 등 충남과 충남 사람들의 역사와 전통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상설전시실 내에 상세한 전시 해설로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유물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문화재 돋보기」 ‧ 「이달의 문화재」 ‧ 「충남의 문화유산 기획전」 코너를 마련하여 교체전시를 하고 있습니다.

  1층의 기획전시실에서는 연간 3회 정도 주제를 달리하여 특별전이 개최되며, 이 밖에도 문화예술단체에 대관을 통해 다양한 전시, 강연 등의 행사가 열립니다.

상설전시실 안내도

전시관 평면도
1충남의 유래와 문화유산
충남의 유래와 문화유산

충남의 유래와 역사, 대표적 문화유산을 유물과 연표, 지도, 사진자료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충남의 유래와 문화유산
2충청감영과 관찰사
충청감영과 관찰사, 그리고 백성

조선시대 충청감영의 운영 현황과 관찰사 임무, 관청과 백성들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충청감영과 관찰사, 그리고 백성
3책가도 8폭 병풍
책가도 8폭 병풍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그려진 책가도 8폭 병풍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책가도 8폭 병풍
4성삼문 신주의 여정
성삼문 신주의 여정

조선후기, 구한말, 현대에 이르기까지 성삼문의 신주가 옮겨져 왔던 여정을 소개하고, 신주를 옮겼던 무안박시 요여(腰輿)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성삼문 신주의 여정
5이심원 충신정려 현판
이심원 충신정려 현판

효령대군의 증손이자 간신 임사홍을 적극 고발하였던 충신 이심원(李深源, 1454 ~ 1504)의 정려각 현판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이심원 충신정려 현판
6충청도 양반의 전통 :
기호학맥과 호서예학
충청도 양반의 전통 : 기호학맥과 호서예학

사계 김장생, 우암 송시열 등의 기호학파 문집들과 충청지역의 상ㆍ제례를 엿볼 수 있는 명기(明器)와 설찬도(設饌圖)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충청도 양반의 전통 : 기호학맥과 호서예학
7연시연
연시연

임금이 신하에게 시호를 하사할 때 행해지는 연시례(延諡禮)와 연시연(延諡宴)을 주제로 한 전시코너입니다. 동춘당 송준길과 명재 윤증의 연시연 상차림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연시연
8전재 임헌회, 어머니와 아들을 그리다
전재 임헌회, 어머니와 아들을 그리다

전재 임헌회 선생이 정리한 어머니 남양 홍씨의 유언문과 요절한 맏아들의 글씨 필첩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전재 임헌회, 어머니와 아들을 그리다
9김장생, 김집 대를 이어 배향되다
김장생, 김집 대를 이어 배향되다

김장생, 김집 두 부자(父子)의 문묘종사교서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김장생, 김집 대를 이어 배향되다
10작은 기증-기탁전
‘영조병오친정도’
작은 기증-기탁전 ‘영조병오친정도’

병오년(1726년, 영조2) 영조의 친정(親政: 왕이 직접 인사행정을 하는 것)을 기록한 <영조병오친정도>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작은 기증-기탁전 ‘영조병오친정도’
11충남의 인물, 그리고
초상화
충남의 인물, 그리고 초상화

김두벽(金斗壁), 김만증(金萬增), 윤증(尹拯), 임득의(林得義), 홍가신(洪可臣) 5인의 초상화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충남의 인물, 그리고 초상화
12조선시대 마지막 통신사 죽리 김이교
조선시대 마지막 통신사 죽리 김이교

1811년 조선통신사 정사를 역임하였던 죽리 김이교 관련 유물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신미통신일록』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마지막 통신사 죽리 김이교
13충남의 계모임
충남의 계모임

공주 상세동 산향계, 공주 부전대동계와 관련된 유물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충남의 계모임
14충남 옛사진
충남 옛사진

충남도민들의 생생한 일상생활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충남 옛사진
15아메미야 히로스케
기증유물
아메미야 히로스케 기증유물

아메미야 히로스케((雨宮宏輔)의 기증유물인 마제석검, 청자대접, 분청사기, 백자사발, 엽서 등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아메미야 히로스케 기증유물
16근ㆍ현대 엽서
근ㆍ현대 엽서

구한 말 ·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기념 엽서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근ㆍ현대 엽서
17공산성 공북루 현판에 담다
공산성 공북루 현판에 담다

공산성 공북루에 걸려있던 시문현판(詩文懸板)과 중수기문(重修記文) 및 그 내용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공산성 공북루 현판에 담다
18충청남도역사박물관
명예의 전당
충청남도역사박물관 명예의 전당

2004년부터 현재까지 충청남도역사박물관에 유물을 기증ㆍ기탁해주신 분들의 명패를 제작하여 그 숭고한 뜻을 기리고 있습니다.

충청남도역사박물관 명예의 전당